엘리어트 파동이론/엘리엇 기본 규칙 및 지침

1. Motive Wave 동인파동 - 1.1. Impulse

PL ratio 2022. 5. 11. 21:46

[Impulse] 규칙

- Impulse는 5개의 세부 파동으로 구성된다. (12345)

 

추세방향으로 진행하는 "동인파동"인 '임펄스'와 '다이고날'의 모양.

 

- 1파와 5파는 Impulse 혹은 Diagonal 형태로 나온다.

 

- 3파는 항상 Impulse 형태이다.

          ( 즉, 3파는 Diagonal이 될 수 없음)

 

- 3파는 큰 파동 내에서 가장 짧을 수 없다.

 

- 2파는 조정 패턴이며 1파의 100% 이상을 되돌릴 수 없다.

 

- 2파는 triangle을 제외한 모든 조정 패턴이 올 수 있다.

          ( 그러나 triangle로 끝나는 복합 조정(WXY 또는 WXYXZ)은 가능하다.) 

 

- 4파의 저점은 1파의 고점을 깰 수 없다.

          (오버랩 X)

 

- 4파는 항상 조정 패턴이어야 한다.

          (모든 조정 패턴 가능)

 


 

[Impulse] 지침 (가이드라인)

 

- 2파와 4파는 서로 교대(alternation) 하는 경향이 있다.

 

- 2파 되돌림 비율이, 4파 되돌림보다 보통 더 크다.

 

- 2파는 단순한 조정 패턴이 더 많이 등장한다.

          (예 : Zigzag 또는 이중/삼중 Zigzag)

 

- 4파는 복잡 조정 패턴이 더 많이 등장한다.

          (예 : Triangle, double/triple three, Flat)

 

- 대부분의 Impulse에서 1, 3, 5파 중 하나가 확장되며, 3파가 확장될 확률이 가장 높다.

 

- 확장된 파동은 내부에 여러 추가 확장 파동을 포함할 수 있다.

 

- [절단] 5파는 3파를 넘어가지 못할 수 있다.

          -> 흔하지는 않다. 일반적으로 3파가 예외적으로 길고 과도하게

              늘어났을 때 발생한다.

          -> 절단이 발생하면 추세 반대방향의 힘이 매우 크다는 의미 이므로,

              보통 큰 반전(조정)이 발생한다.

 

- 3파가 확장되지 않으면, 5파는 Diagonal을 형성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.

 

- Impulse는 모든 하위 파동이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.

          (예 : 5의 5의 5파가 겹치는 경우)

          -> 파동 카운트는 채널 및 피보나치 타깃(마디가)에 우선한다.

 

- 보통 3파에서 가장 큰 거래량을 동반한다. 5파의 거래량이 3파 때만큼 높으면 확장된 5파를 예상할 수 있다.

 

 


 

[Impulse] 피보나치 되돌림 및 확장 지침 (가이드라인)

 

- 확장 없는 임펄스

확장 없는 임펄스의 추세기반 피보나치 & 내부 피보나치 비율. (빨->주->회색 순으로 확률이 높은 되돌림 수준이다.)

 

 

- 1파가 확장되는 경우

 

1파 확장의 추세기반 피보나치 & 내부 피보나치 비율. (빨->주->회색 순으로 확률이 높은 되돌림 수준이다.)

       

          -> 3파에서 5파 끝까지의 길이는 보통 1파 크기의 0.618 ~ 0.786 수준이다.

          -> 2파와 4파가 짧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. (0.236 ~ 0.382 되돌림 수준)

          -> 2파는 보통 1파의 하위 4파 수준에서 끝난다. (1파의 4파 가격 수준)

 

 

- 2파가 1파의 0.786 이상을 되돌리면 그것은 2파가 아닐 수 있다. (조정 AB파동일 가능성 주의)

 

 

- 3파가 확장되는 경우

 

3파 확장의 추세기반 피보나치 & 내부 피보나치 비율. (빨->주->회색 순으로 확률이 높은 되돌림 수준이다.)

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-> 보통 1파와 5파의 크기와 지속 시간이 거의 같다.

              만약 같지 않다면 0.618 비율 관계일 가능성이 크다.

          -> 4파는 보통 3파의 3파 수준에서 끝나고 매우 짧다.

              (3파의 0.236 ~ 0.382 되돌림.)

          -> 3파가 확장과 더불어 매우 가파른 경우,

              1, 2, 4파 끝과 끝을 연결해 그리는 추세 채널을 뚫고

             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. 그러나 이 채널은

              5파의 끝을 예상하는 데에는 여전히 유효하다.

 

- 4파가 3파의 50% 이상을 되돌리면 4파가 아니다.

 

 

- 5파가 확장되는 경우

 

5파 확장의 추세기반 피보나치 & 내부 피보나치 비율. (빨->주->회색 순으로 확률이 높은 되돌림 수준이다.)

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-> 1파와 3파의 크기가 같으면 5파가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.

          -> 1파에서 3파까지 길이의 1.618 확장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.

          -> 후속 조정은 보통 가파르고 짧게 진행되며,

              확장된 5파의 하위 2파 끝단 부근에서 끝난다.

              단, 이것은 하나 이상의 파동 단위에서

              동시에 5파가 끝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(예 : 더 큰 파동의 5파와 지금 파동의 5파가 

                동시에 끝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음.)

 



P.S.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이번 포스팅부터 보시는 데에 거부감과 어려움이 있으실 수 있으나, 제 첫 포스팅("엘리어트 파동이론이란?")의 목차에 담겨있는 기초적인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내용들이 포스팅될 때마다 여러 번 반복해서 보시고 실제 차트에 적용해 보면서 공부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우리 모두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마스터하는 그날까지, 파이팅 합시다!

긴 글 봐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.